안녕하세요 건강정보를 전하는 뉴 노멀입니다😆
대표적인 하체 관절인 무릎 및 발목관절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체중을 지지하고 분산 시키며 운동이나 일을 할때는 물론 모든 활동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기능을 발휘하는 관절입니다.
무릎 관절은 슬개골(patella), 대퇴골(Femur), 경골(Tibia)가 만나 이루어지는 관절로써 다양한 양상의 통증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퇴행성 관절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무릎 통증으로 병원에 가게되면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며, 이 과정에서 무릎 연골주사를 권유하게 됩니다. 오늘의 주제는 무릎 통증은 완화시키고 윤활 기능을 하는 무릎연골주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릎 연골주사란?
무릎 연골주사는 히알루론산(Hyalurinic-acid)이라는 주성분으로 구성된 주사입니다.
히알루론산은 우리몸에 원래 존재하고 있는 물질로, 활액관절인 무릎, 발목 등에서 윤활작용을 돕는 물질입니다. 하지만, 관절염이 발생된 관절은 히알루론산 생성 속도가 떨어지게되어, 히알루론산의 역할인 윤활작용 및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분산 또는 감소 시키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관절염이 점점 진행될 수 있습니다.
관절공간에 히알루론산을 투여하면, 윤활능력이 향상되어 통증은 줄이고 관절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연골 손상을 예방하며 마모도를 최소화하여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 중 하나입니다.
무릎 연골주사의 적응증은?
무릎 연골주사는 무릎 퇴행성 관절염 초기-중기단계인 K-L grade 1-3 (Kellgren-Lawrence)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투여가 가능합니다.
잔존하는 관절연골의 마찰계수를 낮춰 퇴행성 관절염 진행속도를 낮추고 통증을 감소 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K-L grade 4에 해당하는 심한관절염은 의료보험 상 적응증의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본인부담이며, 주사의 효과가 미미하여 개선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을 하신 분이라면 무릎에 연골주사를 비롯하여 어떠한 주사도 맞지 않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무릎 관절 내에 균이 들어간다면 심각한 증상이 발생되어 치료가 어렵고 심한 후유증이 남게 되므로 꼭 주의 하셔야합니다.
단 계 | 단계별 설명 |
정상 | 방사선 사진 (X-ray)상 특별한 이상이 없을 때 |
1 단계 | 경미한 관절공간의 협착이 관찰되고 골극이 형성되는 단계 |
2 단계 | 진행된 관절공간의 협착과 확실한 골극이 보이는 단계 |
3 단계 | 중증도의 관절공간의 협착 및 골극이 보이는 단계 연골하골의 경화 및 뼈의 변형이 발생 |
4 단계 | 관절공간의 현저한 협착 및 골극이 보이며 연골하골의 심한 경화와 뼈와 다리의 변형이 확인되는 단계 |
또는 반월상연골이 파열,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무릎 연골주사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관절염이 이미 동반된 경우라면 연골 주사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무릎 연골주사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무릎 연골 주사의 치료방법은 통상적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총 3회(3주)에 걸쳐 주사를 진행합니다. 하지만 회사별 주사제 및주사방법이 상이할 수 있으며, 치료효과가 약 6개월 정도 유지되고, 6개월 간격으로 1년 / 2회 의료보험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혹은 주사 후 6개월이 경과되지 않아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더라도, 비용을 본인부담하여 주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흔히들 말하는 뼈주사는 연골주사와 다른 주사로 뼈주사는 스테로이드성분의 약제입니다.
스테로이드 성분은 염증을 감소 시키고,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몸의 면역시스템을 강제 중단하여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장기간 치료가 반복 될 시 부작용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 부작용: 연골의 손상, 힘줄과 인대의 약화, 뼈 약화 등
무릎 연골주사 후 재활운동 및 주의점은?
무릎 연골 주사 후에는 무리하지 않을 만큼의 간단한 일상생활만 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통증이 호전되고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해서 구조적 문제가 해결된 것이 아니므로에 항상 나의 관절상태를 인지하고 아껴서 쓰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 출처-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0 |
하지 직거상 운동 - 대퇴사두근 1. 편안히 누워 반대쪽 다리를 세운다. 2. 운동을 시행할 다리의 발끝을 머리쪽으로 당기고 허벅지 전면에 힘을 주어 다리를 쭉펴준다. 3. 약 45도 가량 들어올려 3초-5초 가량 버틴 후 천천히 내려오는 동작을 10회 반복한다. 10회 x 3세트 시행 |
![]() |
하지 직거상 운동 - 대퇴외전근 1. 옆으로 누워 팔베게를 한다. 2. 운동을 시행할 다리의 발끝을 머리쪽으로 당기고 허벅지 전면에 힘을 주어 다리를 쭉펴준다. 3. 옆으로 약 45도 가량 들어올려 3초-5초 가량 버틴 후 천천히 내려오는 동작을 10회 반복한다. 10회 x 3세트 시행 |
![]() 출처-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0 |
하지 직거상 운동 - 둔근 1. 편안한 자세로 엎드린다. 2. 운동을 시행할 다리의 발끝을 머리쪽으로 당기고 허벅지 전면에 힘을 주어 다리를 쭉펴준다. 3. 발끝이 지면에서 떨어지고 둔근에 힘이 들어간 것이 느껴질 정도로만 힘을 주어 들어올린다. 4. 3초-5초 가량 버틴 후 천천히 내려오는 동작을 10회 반복한다. 10회 x 3세트 시행 |
무릎 통증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을 하고 싶으시다면, 비체중부하 상태에서 대퇴사두근 및 고관절 주변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10회 3세트씩 500g - 1.5kg 모래주머니 또는 저항밴드를 이용하여 본인의 근력에 맞는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한번 시작되면 지속적으로 진행, 악화됩니다. 경구약, 주사 등은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만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무릎연골주사의 주 효과는 통증개선 및 윤활능력 향상입니다. 주사를 시행하고 처음 며칠간은 뻑뻑한 느낌때문에 불편할 수 있지만, 수일이 지나면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경과를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관절연골 재생효과는 아주 희박하므로 관절연골 손상으로 인한 통증, 붓기가 있다면 무릎 전문의 진료를 통해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모두의 건강을 위해, 뉴 노멀이었습니다😃
'Wellness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날 명절연휴 휴일진료 병원-약국-어린이병원 찾는 방법 (0) | 2025.01.26 |
---|---|
어지럼증유발-이석증-이란? (0) | 2024.08.11 |
후유장해?후유장애?국가장애?후유장해보상금-장애판정 (1)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