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lness Life

오십견-동결견-유착성관절낭염-어깨가 안올라가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 노멀입니다!

 오늘의 흔한 통증, 오늘은 어깨가 아플때 한번쯤은 생각해보셨을만한 오십견 = 동결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결견(오십견)은 어깨 관절안에서 발생된 손상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았거나 어깨 관절막에 염증이 생겨 어깨가 굳어진 질환입니다. 통증이 있을경우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어야 하는데 제때 치료가 안된다면 2차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오늘 동결견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동결견 = 오십견 = 유착성관절낭염 이란? (adhesive capsulitis of shoulder, frozen shoulder)

어깨 통증
출처-flickr.com

 동결견의 정의

오십견의 임상적 진단명은 "유착성 관절막염"으로 흔히 동결견(frozen shoulder)을 의미합니다. 얼어버린 어깨라는 뜻의 동결견은 어깨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막에 염증이 생긴 후 적절한 치료의 부재로 관절막의 염증이 심해지고 막이 두꺼워 지면서 굳어버려 관절공간이 좁아져 어깨의 심한 운동제한과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50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여 오십견과 같은 명칭으로 불려지지만 연령과 상관없이 30~40대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여성에게 발병율이 높으며 특징적인 선행요인은 없으나 당뇨, 갑상선 기능저하, 듀피트렌(Dupuytren)병, 파킨슨, 뇌출형, 유방암 등이 발병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착성 관절막염
출처-sportsclinicnq.com.au

 
 

동결견 / 오십견 증상 및 예후

어깨 관절낭의 강직과 어깨 관절 통증으로 인해 팔의 전방거상의 제한이 주 증상이며 외전, 외회전, 내회전, 신전 시에 통증이 악화됩니다. 상완 외측부터 후방까지 이르는 통증을 주로 호소하며 병이 진행될수록 야간통이 심하여 아픈쪽 어깨방향으로 옆으로 눕기도 힘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특별히 다치거나 부딪친 적이 없는데 팔을 조금만 움직여도 아프다.
 - 아픈 쪽으로 옆으로 눕기가 힘들다.
 - 아픈 쪽 팔로 머리 빗기, 옷 입고 벗기가 불편하다.
 - 팔을 돌리거나 위로 드는 것이 통증때문에 특히 불편하다.
 
증상의 진행은 3단계로 분류됩니다.
 
 - 통증기(freezing stage) : 어깨 관절에 심한 통증이 오는 시기이며, 주로 야간통이 심하고, 통증때문에 제한적 움직임을 하게되면서 점점 굳어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까지는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검사 시 통증은 있지만 정상 관절가동범위에 근접하게 유지됩니다.
 
 - 동결기(frozen stage) : 증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어깨관절 가동범위가 줄어드는 시기이며, 능동적 관절가동범위 뿐만아니라 수동적 관절가동범위까지 감소하며 통증은 서서히 줄어드는 시기입니다.
 
 - 용해기(thawing stage) : 굳었던 관절이 조금씩 풀리면서 관절가동범위의 회복이 이뤄지는 시기이지만 완전한 움직임 회복을 위해선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동결견의 진단방법은?

 이학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검사로는 골절, 기타 관절의 이상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기본적인 X-ray를 촬영하며 관절조영술 후 MRA촬영을 통해 관절강 공간을 확인하며 관절막의 늘어진 부분이 보이지 않을 경우 동결견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반 질환까지 진단이 가능 합니다. 

 

 

동결견 / 오십견의 치료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 및 수술적 치료로 나뉘어집니다. 치료 목표는 통증감소, 어깨관절 운동회복이며 굳어진 어깨를 단계적으로 유리화시켜 움직이게 해야합니다.
 심한 통증과 어깨관절의 가동범위 제한으로 일상생활에 심한 지장을 주는 동결견의 통증 치료로는 관절강 내 소염제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치료, 경구약 복용 등이 있으며 필수적으로 스트레칭, 관절가동범위 운동(ROM운동), CPM 치료의 병행으로 치료효과의 극대화가 필요합니다. 특히, 동결견은 재발이 쉬운 질환이기 때문에 완전한 가동범위가 회복되지 않으면 다시 어깨가 굳고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관절가동범위 회복운동
출처-madisarang.kr

 

어깨 CPM 치료
출처-madisarang.kr

 
 이상으로 어깨에서 발생하기 쉬운 질환인 동결견(오십견)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동결견은 인접되어 있는 주변조직의 손상까지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한 통증감소 치료 및 기능회복위한 자가 운동치료가 필수적입니다. 동결견 진단으로 치료중인 분이 계신다면 건강한 어깨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모두의 건강을 위해, 뉴노멀 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