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를 전하는 뉴 노멀입니다😁
오늘의 흔한 통증 주제는 바로 슬개골 탈구-슬개대퇴인대 파열 입니다.
운동 혹은 방향전환 동작을 하다가 갑자기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과 슬개골을 중심으로 주변부까지 극심한 통증을 느끼고 슬개골의 위치가 달라보인다면 슬개골 탈구-슬개대퇴인대 파열을 의심해보셔야합니다. 슬개골탈구 및 슬개대퇴인대 파열은 주로 젊고 활동적인 연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상이며,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흔합니다. 관절이 유연하거나 관절형상에 따라 유발 가능성이 높아지는 슬개골탈구-슬개대퇴인대파열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슬개골 탈구란?
슬개골은 대퇴골과 함께 마주하여 관절면을 이루게 됩니다. 그 관절을 슬개-대퇴관절(Patellofemoral Joint)이라고 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대퇴골의 대퇴과에서 슬개골이 탈구되어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 슬개골 탈구 입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흔하며 축구, 배구, 농구와 같은 구기종목 및 스키와 같은 갑작스러운 정지 동작, 방향전환 동작에서 종종 발생합니다.
슬개-대퇴관절(Patellofemoral Joint, P-F Joint)?
슬개골의 관절면과 대퇴골의 융기사이고랑 사이에 있는 관절면인 슬개-대퇴관절은 대퇴사두근, 관절면의 일치성, 그리고 지지띠에 의한 수동적 힘에 의해 국소적인 안정성이 제공됩니다. 슬개-대퇴관절의 비정상적 운동형상학과 불안정성은 매우 흔하며 만성적인 무릎 앞쪽통증과 연골연화증 등 퇴행성 관절질환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슬개골 탈구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선천적 구조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원인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슬개골 탈구의 원인은?
슬개골의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발이 지면에 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갑작스러운 방향전환 및 회전동작
- 슬개골에 직접 가해지는 강한 외력
또한, 선천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습니다.
- 원위대퇴골의 관절면의 매우 얕은 깊이 (약한 부하에도 슬개골 탈구)
- 관절의 과유연성으로 인한 느슨함 및 선천적 슬개골 불안정성
- 비정상적인 슬개건 경골측 부착부
- X 다리 또는 외반슬
- Patella alta
- 슬개골 탈구 과거력이 있는 경우
- 뇌성마비 또는 다운 증후군 (근육약화 및 반대 근육간 불균형 초래)
- 슬개골 형상
슬개골 탈구의 증상은?
- 반대 측과 비교 시 육안적으로 변형된 무릎
- 구부린 상태에서 무릎을 펴지 못함
- 뚝뚝 소리와 함께 슬개골의 빠지는 느낌
- 심한 통증 및 붓기
진단 및 치료
- 무릎 전문의 진찰
- X-ray
- MRI
- 보존적 치료 (근력강화 및 보조기 착용)
- 수술적 치료 (관절경을 이용한 내측슬개대퇴인대 봉합술 또는 재건술)
슬개골 탈구와 아탈구의 차이는?
슬개골 탈구는 원래의 위치에서 슬개골이 완전히 벗어난 상태를 뜻하며 아탈구는 부분적인 탈구를 의미합니다. 슬개골 탈구 / 아탈구는 무릎 관절에 붓기, 통증, 불안정성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무릎 주변근육의 강화 및 슬개골 보호대 등을 착용하여 완전히 탈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 또는 운동 시 항상 주의 해야합니다.
슬개골 탈구가 발생하면 뼈 또는 관절연골이 손상되어 지속적인 탈구 또는 불안정성이 잔존할 수 있습니다. 탈구된 뼈는 정복할 수 있지만 수동적인 장력으로 슬개골을 고정시켜주는 연부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재발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전문의 진찰 및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 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관절경 수술 및 파열된 내측슬개대퇴인대(Medialpatellafemoral ligament, MPFL)의 봉합술 또는 재건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모두의 건강을 위해, 뉴 노멀이었습니다😎
'Wellness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마시기-하루 수분섭취-탈수예방 (0) | 2024.05.24 |
---|---|
손가락통증-방아쇠수지-손가락딸깍 (0) | 2024.03.01 |
디퀘르뱅병-드퀘르뱅-손목통증-엄지통증-육아손목통증 (0)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