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lness Life

무릎 반월상연골-반월판연골-반월상연골 수술이란?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 노멀입니다!!

 

오늘의 흔한 통증, 무릎의 내측 혹은 외측이 아팠던 기억이 있으신가요?

우리 무릎에서 굉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반월상연골 / 반월판연골 / 반월상연골 수술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과거에는 반월상연골 파열을 진단 후에는 대부분 보존적(비수술) 치료를 권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반월상연골 파열을 방치 시, 골관절염의 급속한 진행가능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인 수술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릎 반월상연골이 무엇인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떤 치료 방법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무릎 반월상연골
출처-posmc.com

무릎반월상연골 이란?

 반월상연골 / 반월판연골은 내측(MM, Medial meniscus)과 외측(LM, Lateral meniscus)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섬유연골성 구조물입니다. 반월상연골은 대퇴골과 경골이 관절하는 곳에서 체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며 관절연골을 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관절의 안정성 및 윤활에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내측(MM). 외측(LM) 반월상연골은 각각 서로 다른 외형을 갖고 있으며. 내측반월상연골은 계란형의 모양 / 외측반월상연골은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반월상연골은 가장자리근처가 혈액공급이 가장 풍부하며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혈관이 없어 손상되면 자연치유가 되지 않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무릎관절 구조물
출처-스포츠의학

무릎 반월상연골 파열의 원인은?

  • 외상, 스포츠 손상, 교통사고
  • 노화 : 퇴행성 파열
  • 선천적 이상 : 원판형 반월상연골

 

 

무릎 반월상연골 파열의 증상은?

  • 무릎 내측 / 외측의 통증
  • 초기 : 걷거나 뛰거나 계단 내려오는 등 기능적 활동 시
  • 중기 : 서있거나 가만히 있을 때, 잘 때
  • 심한 경우 무릎을 구부렸다 펼 때 관절 안에서 걸리는 느낌 및 소리
  • 부종
  • 관절 내 염증
  • 무릎에 갑자기 힘이 빠져 휘청거림

 

 

반월상연골의 파열의 유형

 파열의 양상은 손상 당시 무릎에 가해진 외력의 방향이나 자세에 따라 달라집니다. 두 개이상의 유형이 동시에 손상된 경우 복잡 파열이라 칭합니다.

반월상연골 파열 유형
출처-complete-physio.co.uk/meniscal-tear

 

 

반월상연골 파열의 진단

  • 무릎 전문의 진찰
  • X-ray : 관절간격 확인 및 골 손상여부 확인
  • USG : 반월상연골 손상여부 확인
  • MRI : 반월상연골 파열 및 관절연골 손상 정밀진단

 

 

반월상연골 파열의 치료 원칙

 반월상연골은 부분파열이거나 미세한 손상이라면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비수술 치료는 주사치료, 충격파 치료, 재활운동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파열의 경우 수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합니다. 수술방법은 반월상연골 부분절제술 시행 후 봉합술까지 진행되어야 반월상연골의 치유를 돕고 기능적 회복을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손상범위 상태가 심하여 봉합을 못할 경우 절제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는 최소범위의 절제술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일 만 45세 이하에서 반월상연골 손상이 심하게 진행되어 전절제술 혹은 아전절제술 이상의 수술이 진행된 경우, 반월상연골 이식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연골 파열 방치 시 나타나는 후유증은?

파열된 반월상연골은 봉합하지 않고 방치하면 반월상연골의 스프링, 베어링 같은 기능이 없어져 위아래 관절의 충돌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이후에도 방치될 경우 관절염이 급속하게 진행되므로 손상 후 최대한 서둘러 수술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월상연골 수술 내용

현재 반월상연골 파열에 대한 수술은 관절경 수술로 이행이 되고 있습니다. 1차적으로는 반월상연골의 부분절제술이 우선시행되지만 절제만 하고 그대로 둘 경우 재파열의 가능성과 반월상연골의 기능이 저하되므로 가능한 한 꼼꼼하게 봉합술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월상연골 봉합술 : 혈관분포가 있는 가장자리의 연골파열에서 적용, 급성파열에 주로 시행
  • 부분 절제술 : 퇴행성 파열, 파열이 오래된 만성파열

반월상연골 봉합술
출처-madisarang.kr

 

 

수술 후 재활치료

  • 수술 후 약 3주간의 고정치료 및 안정가료
  • 수술 후 6주간 비체중부하
  • 관절가동범위(ROM) 회복운동 및 초기 근력운동 후 점진적인 운동강도 상승
  • 대퇴사두근, 둔근, 햄스트링, 종아리 근력운동
  • 스트레칭
  • 코어안정화 운동

 

 

 오늘은 무릎 내측/외측의 통증원인인 반월상연골 파열과 수술, 재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월상연골은 부분절제술 후 봉합술까지 시행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방치 시 골관절염이 급속도로 진행되어 관절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 도래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반월상연골의 손상이 비교적 심하지 않다면 간단한 부분절제술로도 통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무릎에 통증을 느끼셨다면 손상이 심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시기에 무릎 전문의를 내원하여 통증이 있다면 정밀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모두의 건강을 위해, 뉴 노멀이었습니다.✌🏻

 

 

 

슬개대퇴과압박증후군(LFCS) / 연골연화증 / 슬개대퇴동통증후군(PFPS)

안녕하세요! 뉴 노멀입니다😃 오래 걷거나 날씨가 추워지거나 활동이 많아졌을 때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 나거나 무릎의 앞쪽 혹은 무릎 전체가 아프셨던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의 흔한 통증,

new-normal.kr

반응형